
로그인 한다.

New Project - Academic Journal 순으로 선택한다.


기본적인 IEEE 템플릿을 주로 사용한다.

레퍼런스 넣을 파일도 하나 생성한다.
좌측 상단의 페이지 모양 아이콘을 클릭 후 레퍼런스 파일을 생성해준다.
논문 파일의 확장자는 *.tex 이고 레퍼런스 파일의 확장자는 *.bib 이다. (레퍼런스 파일의 이름은 아무거나 상관 없다.)

레퍼런스는 이런식으로 .bib 파일에 넣는다.

구글 스칼라에 참고논문을 검색하고 따옴표 아이콘 클릭하면 팝업이 하나 나온다.

이후 BibTex 글자를 클릭하면 위 그림처럼 나오는데 복사해서 아까 만들었던 *.bib 파일에 붙여넣으면 된다.
논문에 넣을때는 \cite{hatami2018classification} 처럼 사용한다.
그림 넣는 방법
\begin{figure}[h]
\centering
\includegraphics[width=0.8\linewidth]{"그림 경로"} % 그림 사이즈 조절 가능
\caption{그림 제목}
\label{ 라벨 }
\end{figure}
\usepackage{graphicx} 가 경우에 따라 필요할 수도 있다.
그림을 넣으려면 먼저 그림 파일을 overleaf에 올려두어야 한다.
수식 넣는 방법
\begin{equation}\label{라벨}
이곳에 수식 작성
\end{equation}
라벨이 필요 없는 수식은 $사이에 수식 작성$ 하면 된다.
$S_0(t)$ 처럼 사용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온다.
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.
라벨 사용 방법
\ref{라벨}
표 넣는 방법
\begin{table}[h]
\begin{center}
\caption{표 제목}
\label{라벨}
\begin{footnotesize}
\begin{tabular}{cccc} %열 개수만큼 c를 채움
\hline
값 & 값 & \begin{tabular}[c]{@{}c@{}} 두줄로 \\ 넣는방법\end{tabular} & \begin{tabular}[c]{@{}c@{}}값\end{tabular} \\
\hline
값 & 값 & 값 & 값 \\
값 & 값 & 값 & 값 \\
값 & 값 &값 & 값 \\
\hline
\end{tabular}
\end{footnotesize}
\end{center}
\end{table}
위 코드를 컴파일하면 아래 그림처럼 표가 생성된다.

표를 넣을 때는 & 연산자를 사용해서 구분을 해준다.
\hline은 가로로 선을 넣는다는 뜻이다.

'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애벌레 처럼 기는 로봇 (1) | 2023.04.10 |
---|---|
이더넷과 CSMA/CD, CSMA/CA (0) | 2023.04.05 |
ChatGPT 에게 물어보기 : 미래 없어질 직업은? (0) | 2023.04.05 |